바탕체는 고딕체와 대비되는 폰트로 가독성을 위해 세리프가 추가되는데 주로 인쇄물에 사용됩니다. 웹에서는 오히려 작은 글자의 경우 가독성이 떨어져 고딕체를 많이 사용합니다. 리디바탕체는 웹과 같은 전자서적용으로 개발됐다고 합니다. https://www.ridicorp.com/branding/fonts/ridibatang/ 고딕체의 반듯한 느낌에 가독성 증대를 위해 세리프가 추가됐고 이 세리프도 끝이 뭉툭하게 만들어졌습니다. 다음은 웹폰트로 변환한 것입니다. 풀버전은 원래의 폰트 모두를 포함한 것이고 라이트버전은 한글 2,350개만 추려낸 것이라 가볍습니다. 라이선스 안내 리디바탕 글꼴은 개인 및 기업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하실 수 있습니다. 단, 글꼴 자체..
http://www.nixgon.com/nixgon-fonts
디자인하우스체는 인쇄매체 및 디지털에서의 가독성을 배려해 만들어졌습니다.딱딱한 네모칸 안에 맞추는 일반 서체와 달리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따라 경쾌한 시각적 리듬이 생겨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http://www.designhouse.co.kr/service/dhfont · 저작권 안내디자인하우스 폰트의 지적 재산권은 ㈜디자인하우스에 있으며, 오픈 라이선스로 영상, 인쇄, 웹 등 다양한 매체에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며 특별한 허가 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서체를 허가 없이 수정, 변형하거나 유료로 양도 및 판매하는 등의 상업적인 행위는 금지합니다.저작권 보호 문화를 위해 글꼴 사용 시 출처 표기를 권장합니다. 풀버전은 본래의 글자가 모두 포함된 것이고 경량화 버전은 키보드상의 글자와 한글 2,..
EBS에서 개발한 서체는 EBS 훈민정음, EBS 훈민정음 새론체, EBS 주시경체가 있습니다. 웹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 했습니다. 상업용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작권EBS 훈민정음의 저작권 및 소유권의 제반권리는 EBS한국교육방송공사에 있습니다.2. 사용범위가. 학교, 개인, 공공기관 등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나. 영상매체, 인쇄매체, 웹, 모바일 등 매체와 용도에 제한 없이 상업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3. 제한사항가. EBS의 사전 서면승인 없이 의 소스코드 수정 및 역설계 등 일부 혹은 전부를 임의로 변형할 수 없습니다. 나. EBS의 사전 서면승인 없이 서체자체의 임의개작, 개명을 통한 재배포나 재판매 등의 행위는 금지..
네이버가 한글날을 맞이하여 109종의 손글씨를 개발해 발표했습니다. 공모를 거쳐 AI로 개발했다고 합니다. 한글은 영어 알파벳과 달라서 폰트 만들기가 어려운데 AI를 이용해 109가지의 글꼴에 각각 무려 11,000여개의 글자들을 하나하나 만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손글씨는 가장 많이 쓰는 글자인 2,350개만 만들거든요. https://clova.ai/handwriting/list.html 위 페이지로 가서 다운로드하거나 미리보기를 할 수 있습니다. 폰트의 용량은 5메가바이트 내외이며 어떤 것은 7메가바이트에 달하기도 합니다. 손글씨체는 고딕체와 달라서 용량을 많이 차지합니다. 이들중 몇가지만 웹폰트로 변환했습니다. 한글 글자중 많이 쓰이는 2,350개만 추려서 경량화 했습니다. 손글씨는 아주 개성이 ..
구글 검색중 Gothic A1이라는 폰트가 있어서 검색해보니 한양정보통신에서 제작한 폰트더군요. https://www.hanyang.co.kr/hygothic/ 이 사이트에는 유료로 돼있고 폰트 굵기가 10에서 990까지 아주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구글 폰트의 경우 100에서 900까지 9개의 폰트 굵기만 사용 가능합니다. 그래도 이정도의 가지수는 웹폰트로서는 풀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https://fonts.google.com/specimen/Gothic+A1 구글 폰트를 바로 사용하려면 우측 상단의 Select this font를 클릭해 설정합니다. @import를 선택하면 스타일시트에 삽입할 수 있는 코드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굵기를 추가하려면 Customize를 선택합니다...
에스코어에서 폰트를 제작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하고 있습니다. 상업용으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폰트로 사용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웹폰트로 제작했습니다. 폰트를 받으려면 아래의 사이트로 이동하면 됩니다. http://www.s-core.co.kr/who-we-are/font/ 좋은 폰트를 제작해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현재 제 블로그에 적용된 폰트는 s-core-dream-regular입니다. 보기 드물게 9개의 폰트로 돼있습니다. 에스코어 글꼴 라이선스닫기S-Core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되는 에스코어 글꼴의 지적 재산권은 S-Core에 있습니다.에스코어 글꼴은 개인 및 기업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자유롭게 재배포..
박경리체가 폰트로 나왔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아래는 웹폰트입니다. 고향,내 길다란 그림자 끝나는 곳 나 언제라도 꿈이 있으면어릴 적 뒹굴며 놀던고향 동산으로 돌아가련다 온 몸에 부드러운 봄 햇살을 받으며푸른 들판과 맞닿은 끝없는 하늘을 올려다보면마음은 어느새 수풀을 지나 다리를 건너 시냇물에 닿아평화스러이 느린 꿈에 취하련만…이미 내게서 멀어져 간 먼 옛날의 이야기인가. 나 언제라도 외로워지면살풋한 사랑이 있는 고향 동네로 돌아가련다.한낮의 따가운 볕을 피해 땀을 식히노라면들꽃의 싱그러운 풋내를 담고 수줍게 섰는 순이 얼굴이,소박한 베옷에 때묻지 않은 꿈이울 너머로 아련히 떠오를 듯도 한데…이제는 엷은 감미로움만 남기고 사라져간먼 옛날의 이야기인가. 나 언젠가 안식을 그려모..
본고딕에 이어 본명조가 작년에 출시됐습니다. 명조체는 웹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데 혹시 큰 글자로 사용할 수도 있기에 웹폰트로 경량화 해봤습니다. 원래의 폰트가 otf로 제작됐는데 뭔가 잘못된 것인지는 몰라도 웹폰트 변환이 잘 안됩니다. 따라서 woff2 버전이 안돼서 woff 버전만 포함했습니다. 압축해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fonts 폴더에 7개의 폰트를 모두 넣었습니다. 사이트에서 css 파일에 아래와 같이 css 파일을 연결해주면 됩니다. @import url('NotoSerifKR/noto-serif-kr.css'); body, h1, h2, h3, h4, h5, h6, p {font-family:'NotoSerifKr-Regular', serif !important;} 16px로 했을 때 영..
tvn의 즐거운이야기체를 웹폰트로 경량화했습니다. 원본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tvn10festival.tving.com/playground/tvn10font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포함돼있습니다. 특수문자나 일부 안쓰이는 한글을 입력하면 위 그림처럼 나옵니다. 웹폰트 경량화 버전에서도 위 의도를 살려 특수문자와 그림문자를 포함시켰습니다. woff2 버전이 300kb입니다. 보통 고딕체가 가장 용량이 작고 그다음으로 명조체가 용량이 크고 자유체나 필기체 등 다양한 형태의 폰트는 용량이 가장 큽니다. 키보드에 없는 특수문자와 그림문자는 아래의 글자를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핳햫헣혛홓훃훟흏홓훃힣햏헿롲롳롴롵롶롷롞롰※ ☆ ★ ○ ● ◎ ◇ ◆ □ ■ △ ▲ ▽ ▼ →..
"이롭게"라는 명조체 폰트를 경량화 한 버전입니다. "이롭게"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데스크탑 버전과 웹버전을 받을 수 있습니다. http://font.iropke.com/batang/#download 웹버전의 용량이 962KB인데 거의 1mb에 달해서 속도가 생명인 웹사이트에서는 경량화가 필요합니다. 원본버전은 모든 한글 글자를 표현할 수 있지만 경량 버전은 한글에서 많이 쓰이는 2350 글자만 추려낸 것입니다. 용량이 WOFF는 263KB이고 WOFF2는 166KB입니다. demo.html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Glyphs & Languages 탭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포함된 모든 글자를 볼 수 있습니다. 한글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한 폰트로 생각됩니다.
티몬의 몬소리체 웹폰트입니다. 아래의 글에서 라이센스에 관해 알아봤는데 거의 제한이 없을 듯해서 웹폰트로 공개합니다. https://brunch.co.kr/@creative/32 이곳의 라이센스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댓글에 웹폰트 변환에 관련한 문의를 달았으나 이전의 댓글들도 거의 답변이 없어서 제한이 된다는 알림을 받거나 이글에 댓글을 달아주시면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압축을 풀면 다음처럼 파일이 있습니다. demo.html 파일을 열면 아래처럼 나옵니다. 제목체로 쓰기에는 좀 부담스럽고 배너나 슬라이더의 큰 글씨체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바로가기 리가츄어(Ligature) 사용하기 동영상 :
구글과 어도비가 공동 개발한 본고딕(노토산스: Noto Sans) 한글이 드디어 구글에서 웹폰트로 등장했습니다. Noto 폰트는 구글과 어도비에서 공동으로 제작한 폰트로 전 세계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엄청난 프로젝트입니다. 이는 폰트를 통한 비주얼 하모니(Visual Harmony)를 위한 것으로 그러자면 웹에서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글자 수가 적은 국가의 경우는 이미 제공됐지만 한국 및 중국, 일본의 경우는 한자를 사용하거나 글자 수가 많기 때문에 웹폰트로의 전환이 늦어졌습니다. https://www.google.com/fonts/earlyaccess 위 링크로 이동하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 폰트 목록이 있으며 Noto Sans로 검색하면 각 국가의 폰트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